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11

[Linux] grep 설명/사용방법/간단예 📌 grep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 의 약자로,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파일 혹은 명령어결과 내 특정/어떤 내용을 찾기 위해서 쓰이는 명령어다. 파일 혹은 명령어결과 내 지정한 정규표현식 패턴과 일치한 라인/결과를 출력 한다. 사용법: grep [옵션]... 패턴 [파일]... ✅ 대표적인 옵션 몇가지만 예시로 아래표로 정리해보았다. 더 많은 옵션들은 man grep 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 할 수 있다. 옵션 설명 사용 예시 -i --ignore-case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. grep -i 'hello' grep.txt -n --line-number 행번호를 붙여서 출력한다. grep -n 'hello' grep.txt -v --invert-match 패턴으로 매칭.. 2023. 1. 27.
[Linux] umask 기본접근권한 설정 및 진리표 📌 umask 유닉스계열에서 사용하는 새로생성된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접근권한값을 설정 하는 명령어이다. ✅ 현재 mask값 확인하는 명령어 -S 옵션이 붙으면 8진수가 아닌 문자로 출력한다. 이미지와 같이 test 파일을 생성했을때 rw-rw-r-- (664) 라는 권한을 갖는 이유는 mask 값이 0002 이기 때문인것인데, 아래 풀이를 참고 하면되겠다. 📜 일반파일 일반파일이 가지는 최대권한은 rw-rw-rw- (666) 이다. 일반파일의 성격상 실행이 필요한 대상(.sh 파일 제외)이 아니기 때문에 x(excute)의 값은 가지지 않는다. 📂 디렉토리 디렉토리가 가질수 있는 최대권한은 rwxrwxrwx (777) 이다. 디렉토리를 접근하기 위해 이동하는것이 x(excute) 하는 개념이기때문이다... 2022. 10. 23.
[Linux] 파일/디렉토리 접근권한 제어 (chmod) 리눅스의 가장 기본적인 보안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의 파일을 보호하는것으로, 이 때문에 파일을 생성하는 소유자가 권한을 기본적으로 갖는다. 📌 chmod (Change Mode) 파일/디렉토리에 대한 접근권한을 재지정 한다. 파일권한은 세가지로 나눌수 있다. read : 읽기, 복사 write : 수정, 이동, 삭제 excute : 쉘스크립트 실행 권한 파일권한을 재지정하는 모드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그 중 기호모드는 user,group,other,all의 역할만 구분하면 된다. mode 표기 예시 기호(연산자)모드 u(user), g(group), o(other), a(all) +(추가,부여), -(제거), =(지정,설정) u+w : user에게 write를 부여 u-x : user에게 excute 제.. 2022. 10. 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