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

[Linux] umask 기본접근권한 설정 및 진리표 📌 umask 유닉스계열에서 사용하는 새로생성된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접근권한값을 설정 하는 명령어이다. ✅ 현재 mask값 확인하는 명령어 -S 옵션이 붙으면 8진수가 아닌 문자로 출력한다. 이미지와 같이 test 파일을 생성했을때 rw-rw-r-- (664) 라는 권한을 갖는 이유는 mask 값이 0002 이기 때문인것인데, 아래 풀이를 참고 하면되겠다. 📜 일반파일 일반파일이 가지는 최대권한은 rw-rw-rw- (666) 이다. 일반파일의 성격상 실행이 필요한 대상(.sh 파일 제외)이 아니기 때문에 x(excute)의 값은 가지지 않는다. 📂 디렉토리 디렉토리가 가질수 있는 최대권한은 rwxrwxrwx (777) 이다. 디렉토리를 접근하기 위해 이동하는것이 x(excute) 하는 개념이기때문이다... 2022. 10. 23.
[Linux] 파일/디렉토리 접근권한 제어 (chmod) 리눅스의 가장 기본적인 보안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의 파일을 보호하는것으로, 이 때문에 파일을 생성하는 소유자가 권한을 기본적으로 갖는다. 📌 chmod (Change Mode) 파일/디렉토리에 대한 접근권한을 재지정 한다. 파일권한은 세가지로 나눌수 있다. read : 읽기, 복사 write : 수정, 이동, 삭제 excute : 쉘스크립트 실행 권한 파일권한을 재지정하는 모드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그 중 기호모드는 user,group,other,all의 역할만 구분하면 된다. mode 표기 예시 기호(연산자)모드 u(user), g(group), o(other), a(all) +(추가,부여), -(제거), =(지정,설정) u+w : user에게 write를 부여 u-x : user에게 excute 제.. 2022. 10. 2.
[Linux] 하드링크, 심볼릭링크의 차이와 inode의 관계 파일 구분 문자 파일 유형 설명 특징 - 일반파일(정규파일) b (block) 블록장치 - buffer cache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, CD-ROM 등 - 랜덤하게 access 하여 처리 c (character) 문자장치 - 버퍼를 사용하지 않음 - 키보드,마우스 같은 주변장치 같은것 - 먼저 입력받은 작업을 처리 d (directory) 디렉토리 l (link) 심볼릭링크 리눅스의 파일유형 중 심볼릭링크는 "l" 로 구분된다. 📌 Hard Link 하드링크 특징 하드링크로 파일을 생성해도 원본에 대한 동일한 inode를 사용한다. 원본수정시 하드링크도 수정된다. 원본을 이동,삭제해도 하드링크파일은 남아있다. inod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(링크 수가 0 이면 사라지는 개념이다.) 동일한 파일시스템에.. 2022. 9. 21.